단체수건 제작 어디서 하나요
단체수건 제작 어디서 하나요
Blog Article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당신을 두려워한다"며 종전 협상을 원한다는 그의 발언에 진정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했다고 악시오스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정부 관계자와 3명의 또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과 1시간 가량 이어진 전화 통화에서 푸틴 대통령이 협상을 원한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이 협상을 원한다고 말한 것은 당신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당신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구하기 위해 나는 푸틴과 대화해야 한다"며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에 대한 젤렌스키 대통령의 우려를 이해하지만, 외교적 노력이 성공하려면 불가피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푸틴 대통령이 협상을 원한다고 평가하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의중을 물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신도 합의를 원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단순히 트럼프 대통령이 듣고 싶어 하는 말을 하고 있을 뿐이라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같은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푸틴 대통령이 진지하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곧 알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향후 협정에서 우크라이나가 안전 보장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이해한다고 말하며 유럽 평화유지군이 러시아와의 최전선에 배치되는 방안을 하나의 해결책으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우크라이나가 요청한 미군의 우크라이나 배치에는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14일 독일 뮌헨에서 열릴 J.D. 밴스 미국 부통령,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회담이 종전 협상을 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협상팀에 존 래트클리프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과 백악관 대표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포함될 것이라고 밝히며 젤렌스키 대통령에게도 우크라이나 측 협상단을 임명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통화 말미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자신의 개인 연락처를 제공하며 직접 연락해도 된다고 말했다고 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에 감사의 뜻을 표하고 우크라이나의 헤비급 복서인 올렉산드르 우식의 챔피언 벨트를 선물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어떤 저비용항공사(Low Cost copyright·LCC)는 김포-제주 등 국내선을 편도로 연속 5번 운항하기도 한다. 너무 잦은 비행 일정에 업계에는 ‘비행기가 마을버스냐’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전직 승무원 A 씨는 단거리 위주인 LCC의 가동 시간이 긴 것은 그만큼 쉴 틈 없이 승객을 태워 날랐다는 의미라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한 달 새 발생한 항공기 사고 2건은 모두 LCC에서 일어났다.
1월 28일 오후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에서 홍콩으로 출발하려던 에어부산 항공기에 화재가 발생해 website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1월 28일 오후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에서 홍콩으로 출발하려던 에어부산 항공기에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비행기 뜨는 순간이 곧 수익
타격은 불가피했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12월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간 집계된 항공권 취소 건수만 6만8000건에 달했다. 상당 기간 사전조사와 준비를 거쳐 예약하는 항공권 특성을 고려하면 LCC에 갖는 승객들의 불안감이 크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가성비’ 항공권으로 여행 산업 트렌드를 바꿔놓았던 LCC의 안전성이 도마에 올랐다.
항공사는 FSC(Full Service copyright·풀 서비스 항공사)와 LCC로 구분된다. 국내에서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이 FSC이고, 제주항공·에어부산·진에어 등 나머지 9개사는 모두 LCC다. 이들은 대형 항공사보다 비용을 덜 투입하지만, 이것이 ‘덜’ 안전한 비행을 제공한다는 뜻은 아니다. 중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짧게 자주 띄우고, 운행 항공기 기종을 단일화해 비용 효율성을 확보한다.
LCC는 저렴한 항공권으로 여행 문턱을 낮췄다. 국내선 이용객은 LCC가 FSC를 앞지른 지 오래다. 글로벌 항공정보 제공업체 OAG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붐빈 국내선은 제주-김포 노선(연간 1418만 석)이다. 국제선도 이용 비중이 증가했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탈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LCC 업체의 국제선 여객 운송 비중은 2019년 28.9%에서 지난해 12월 36.1%로 5년 새 7.2%p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FSC 운송 비중은 37.1%에서 34.6%로 감소했으며, 외항사 역시 34.0%에서 29.3%로 비중이 줄었다.
여객 운송 부문에서 LCC가 대형 항공사 점유율을 추월한 배경엔 높은 월평균 항공기 가동 시간이 있다. 국내 주요 항공사의 지난해 3분기 사업보고서를 보면 월평균 항공기 가동 시간은 △대한항공 355시간 △아시아나항공 335시간 △제주항공 418시간 △티웨이항공 386시간 △진에어 371시간 △에어부산 340시간 등으로 LCC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 수준에만 그쳐서는 안 돼”
이윤철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비행기는 하늘에 떠 있어야 돈을 버는 구조”라며 “법정 근로시간을 준수하면서 더 자주 비행하면 안전 확인과 정비 시간을 압축적으로 운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보통은 장거리 비행이 더 피곤할 것이라고 예상하는데, 승무원 입장에선 단거리로 자주 비행하는 게 더 부담”이라며 “이착륙 때 승객을 안내하고 하기 후 정비까지 포함하면 노동 강도가 훨씬 높다”고 덧붙였다.
비행시간은 긴 데 비해 정비인력은 LCC가 FSC보다 적다. 국내 LCC 9개 업체의 항공 정비사(1643명)를 모두 합쳐도 대한항공(2661명) 한 곳에도 못 미친다. 전문가들은 인력만으로 단순 비교를 할 수는 없지만, 그간 LCC가 안전관리를 최소 요구 수준에서만 지키는 정도로 운영해왔다고 비판한다. 이 교수는 “쏘나타만 모는 운전자와 벤츠·그랜저·쏘나타를 번갈아 모는 운전자 중 누가 더 쏘나타에 대해 잘 알지를 생각해보면 쉽다”며 “그렇다 해도 LCC 정비사 수가 FSC에 비해 현저히 적은 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는 비행기 대당 정비인력이 12명은 돼야 한다고 권고한다. 이를 충족한 국내 LCC는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두 곳뿐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한국 LCC 사업자 수(9개)는 세계에서 가장 많다. 나란히 1위를 차지한 나라는 미국이다. 한국보다 국토 면적이 약 100배 넓은 미국과 사업자 수가 같다는 점에서 사업자 과잉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LCC라 해도 특정 항공사가 커지면 정비 등에 확보할 수 있는 비용도 증가하는데, 지금은 회사 수가 많아서 가격 경쟁에 치우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고 항공산업을 육성하려면 LCC가 기본을 지키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광일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국내 LCC 업계는 제한된 국내 수요층을 위주로 가격 경쟁을 벌였다”며 “해외 영업망 확충 등으로 고객을 늘리고 수익구조를 다변화해 안전성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